진짜 돈 안 들고 여행 간다고?
몰라서 못 받는 40만우너, 너만 모르니?
중소기업 다닌다면 지금 꼭 봐야 해
예산 마감 전에, 이건 무조건 봐야지
2025년, 하루쯤은 '내 돈 없이' 떠날 수 있어요
이제는 여행도 '버는 시대'입니다. 올해도 여름은 다가오는데, 여행은 점점 더 멀게 느껴지시나요? “시간도 없고, 돈도 없고, 같이 갈 사람도 없고…” 그런 생각으로 매년 휴가를 미뤘다면, 지금이 기회예요.
나라에서 대신 여행비를 내주는 제도가 있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?
‘나도 해당될까?’라는 생각이 드셨다면 지금 이 글을 천천히 읽어보세요. 실제로
많은 분들이 몰라서 놓치고 있었던 여행비 지원제도, 2025년에는 조금 더 넓어진
조건으로 우리 곁에 돌아왔습니다.
① 근로자라면, ‘근로자 휴가지원사업’부터 확인하세요
근로자가 20만 원만 내면, 정부와 기업이 각각 10만 원씩을 더해 총 40만 원의 적립금을 국내 여행 경비로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이 적립금은 ‘휴가샵’이라는 전용 온라인몰에서 숙박, 교통, 관광지 입장권
등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. 특히 중소기업, 소상공인, 사회복지시설 종사자,
비영리 민간단체 근로자라면 참여 대상입니다.
2025년에는 약 15만 명까지 확대되고, 참여 기업에는 인증 인센티브도 주어지니
사업주 입장에서도 꽤 유리한 구조입니다. 신청은
vacation.visitkorea.or.kr에서 기업 단위로 가능하며, 예산 소진 시 조기
마감될 수 있으니 서두르시는 게 좋습니다.
② 취약계층이라면, ‘문화누리카드’로 연 14만 원 받으세요
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이라면 ‘문화누리카드’를 통해 연간 14만 원 상당의 문화·여행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공연, 영화, 전시 관람뿐 아니라 국내 여행사, 숙박, 교통비로도 사용
가능해요. 카드 형태로 발급되며, 전국 주민센터 또는 문화누리카드 누리집,
전화 등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가맹점 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로
생활비 절약 효과도 큽니다.
③ 내일채움공제 가입자에게는 ‘휴가비 특화 지원’도 있어요
중소기업 청년 근로자 중 ‘내일채움공제’에 가입한 분들은 별도의 휴가비지원사업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
본인이 20만 원을 납부하면, 중진공과 정부가 각각 10만 원씩을 지원해 총
40만 원이 마련돼요.
신청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(중진공) 홈페이지에서 가능하고, 기업 신청
후 근로자의 개별 동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. 공제에 가입한 적이 있다면
꼭 확인해보세요.
■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? 어렵진 않나요?
각 제도별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근로자 휴가지원사업은 기업 단위 신청이 원칙이며, 개인이
신청할 수는 없지만, 담당자에게 요청하면 기업이 참여하는 경우도
많습니다. 문화누리카드는 개인이 직접 신청할 수 있어 접근성이
높고, 내일채움공제는 기업을 통해 신청하되 본인의 참여 동의가
필수입니다. 신청 전, 해당 사이트에서 구체적인 일정과 제출 서류를
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[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!]